푸른 언덕 (이효 시인 티스토리)

어두운 밀실에서 인화 되지 못한 가난함 부끄러워하지 않는 이유는 텅 빈 거실에 무명 시 한 줄 낡은 액자에 걸어 놓은 것

병원 3

뭉크의 절규 / 이효

뭉크의 절규 /  이효두렵다는 것은 슬픈 것이다어미를 넘어트린 덩치 큰 염소칠판 위에 붙은 교훈 분필 가루가 되어 교실 안이 술렁인다무질서는 유죄일까? 무죄일까?옆구리 차기로 운동화 날아오고 교사의 비명은 털이 뽑혔다글썽인다, 겁에 질린 어린 눈망울들밟지 말아야 할 스승의 그림자는 구석기시대 유물이 되어 밟힌 지 오래다 병원으로 실려간 어미는 암막 커튼을 친다다시 초원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천년이 흘러도 변하지 말아야 할 것들뭉크는 불안한 내일을 다시 부르고 있다이효 시인  / 장미는 고양이다

뒷모습 / 이 효

그림 : 김 정 수 ​ ​ 뒷모습 / 이 효 ​ 앞집 훈이 아저씨가 은퇴를 하셨다 병원장님 댁 정원사로 일을 하셨다 빠른 손놀림을 눈여겨 본 병원장님은 아저씨를 병원 기관실로 보내셨다 첫 출근이었다 ​ 아저씨 인생이 별거 아니라는 사람들 그래도 새벽부터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아저씨는 병원 문턱이 닳도록 일을 하셨다 열등감 따위를 느낄 겨를도 없었다 어린 아들을 세명이나 키워야 했다 한 평생 전투를 하듯이 살아온 인생도 국수발 잘리듯이 잘여나가는 시간이 왔다 은퇴를 하란다. 느린 손놀림은 헛헛한 웃음만 자아낸다. ​ 마지막 퇴근길에 아픈 아내와 아들을 위해서 병원 앞 욕쟁이 할머니네서 만둣국을 포장했다. 할머니의 마지막 말씀은 뒤지지 말고 살란다 상 위에 오른 만두를 자른다 아직도 배가 통통해서 견딜만한데..